번사이드 보조정리

2018년 9월 18일

이 번사이드 보조정리는 유한 대칭군 위에서 기술되어 있습니다.

0. 유한군 용어

유한 집합 XX에 대해

이다.

1. 정의

(G,,id)(G,\circ,id)를 유한 집합 XX의 순열군으로 놓자.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:

X/G=1GσGXσ |X/G| = \frac {1}{|G|} \sum _{\sigma \in G} | X_\sigma |

여기서 사용되었고 또 앞으로 사용할 집합들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:

1.1. 예시

입체 도형을 색칠하는 경우의 수를 구할 때 사용됩니다. XX를 주어진 색깔로 각 면을 칠하는 방법으로 놓고, GG에서 회전을 고려해주면 됩니다.

문제. 정육면체를 4가지 색으로 칠하는 방법의 가짓수는 얼마인가? 단, 돌렸을 때 같아지는 것은 하나로 센다.

‘색칠’과 ‘돌리기’를 동시에 고려해서 개수를 세는 것은 힘들기 때문에 이 대상을 군으로 바라보면서 그 둘을 분리할 수 있도록 번사이드 보조정리를 사용합니다.

이 때, GGXX의 순열군이라는 것은 어렵지 않게 보일 수 있습니다.

이제 번사이드 보조정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회전 함수로 이루어진 GG를 직접 세워야 합니다. 일단 6개의 면이 있고 각 면에 대해 옆면을 회전하는 방법이 4가지이므로, G=24\vert G\vert = 24입니다.

이제 각 σG\sigma \in G에 대해 XσX_\sigma를 구하기 앞서 GG의 모든 원소들을 찾아야 하는데, 헷갈리면 큐브 하나를 옆에 들고 돌려가면서 세는 ㄷ것도 괜찮습니다.

‘면에 대해 회전한다’는 것은 면의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고정된 방향(시계방향, 반시계방향 중 하나 선택)으로 돌린다는 것을 뜻합니다.

‘꼭짓점에 대해 회전한다’는 정육면체에서 양 끝에 있는 꼭짓점을 관통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.

‘모서리에 대해 회전한다’는 모서리의 절반과 반대쪽 모서리의 절반을 관통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합니다.

이 방법들이 서로 다르고 개수를 모두 더했을 때 24가 되므로 회전하는 방법을 이렇게 나눌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즉, {G1,G2,G3,G4,{id}}\{G_1, G_2 ,G_3, G_4, \{id\} \}GG의 분할partition입니다.

이제 번사이드 보조정리를 사용하면

X/G=1GσGXσ=124(46+6×43+3×44+8×42+6×43) |X/G| = \frac 1 {|G|} \sum _{ \sigma \in G} |X_\sigma| = \frac 1 {24} (4^6 + 6 \times 4^3 + 3 \times 4^4 + 8 \times 4^2 + 6 \times 4^3 )

마지막으로 얻는 식에서 알 수 있는 점은 칠할 수 있는 색깔의 가짓수는 사실 식의 형태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거에요! 만약 정육면체를 nn개의 색으로 칠하는 방법의 수를 구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:

124(n6+3n4+12n3+8n2) \frac 1 {24} ( n^6 + 3n^4 + 12n^3 + 8n^2 )

2. 증명

2.1. 유한군에서의 궤도-안정자군 정리

GxG(x)=G |G_x| |G(x)| = |G|

이 부분이 가장 힘든 단계입니다.

증명

GxG_x를 확장해서 다루기 위해 Hx,yH_{x,y}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:

Hx,y={σG:σ(x)=y} H_{x,y} = \{ \sigma \in G : \sigma(x) = y \}

1. yG(x)y \in G(x)일 때, $\vert H_{x,y}\vert = \vert G_x\vert $이다.

$ f: Gx \to H{x,y} $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:

f(σ)=hσwhere h(x)=y f(\sigma) = h \circ \sigma \quad \text{where } h(x) = y

fGx×Hx,yf \in G_x \times H_{x,y}이고, 모든 σGx\sigma \in G_xHx,yH_{x,y}로 대응되므로 ff는 함수이다.

hh는 일대일대응bijective이다.

h1Gh^{-1} \in G이고, 따라서 f1(σ)=h1σf^{-1}(\sigma) = h^{-1} \circ \sigma로 정의했을 때 f1f^{-1}ff의 역함수이다.

따라서 ff는 일대일대응bijective이다. 즉, H_x,y=Gx\vert H\_{x,y} \vert = \vert G_x\vert이다.

2. 임의의 xXx \in X에 대해 {Hx,y:yG(x)}\{H_{x,y}:y \in G(x)\}GG의 분할이다

분할의 정의를 하나씩 확인해보면 됩니다. 겹치는 일이 없고, 모두 합쳤을 때 GG가 됩니다.

2.2. 나머지 과정

다음과 같은 관계relation을 고려합니다:

R={(x,σ)X×G:σ(x)=x} R = \{(x , \sigma )\in X \times G : \sigma(x) = x\}

이런 관계를 정의하면 좋은 이유는 두 번 세면서 등식을 얻어내기 좋기 때문이에요.

R=xXGx=σGXσ |R| = \sum _{x \in X} | G_x | = \sum _{ \sigma \in G } |X_\sigma |

이대로 위에서 증명한 보조정리를 써가면서 전개하면 원하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
1GσGXσ=xXGxG=xX1G(x)=AX/GxA1A=X/G \begin{aligned} \frac 1 {|G|} \sum _{\sigma \in G} |X_\sigma| &= \sum _{x \in X} \frac {|G_x|}{|G|} \\ &= \sum _{x\in X} \frac {1}{|G(x)|} = \sum _{A \in X/G} \sum _{x \in A} \frac {1}{|A|} = |X/G| \end{aligned}